연도

2025

Java 17에서 G1GC 옵션 종류, 특징 및 튜닝 방법

Java는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Garbage Collector(이하 GC)를 제공해 왔으며, Java 17에서는 G1(이하 G1GC)이 기본 GC로 사용됩니다. G1GC는 초단위 이하의 짧은 GC 정지 시간(pause time)을 목적으로, 기존의 Parallel GC나 CMS...

AWS EKS 환경에서 Spring Boot Pod의 G1GC 튜닝 가이드

AWS Elastic Kubernetes Service(EKS)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은 EKS Pod에서 자주 사용되며, JVM의 G1GC(Garbage First Garbage...

Apache와 Tomcat 연계: AJP와 Reverse Proxy 비교

Apache HTTP 서버와 Tomcat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연계하는 방식에는 크게 AJP(Apache JServ Protocol) 방식과 Reverse Proxy(역방향 프록시) 방식이 있습니다. 두 방식은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 설정 방법 등이 다르며, 시스템 구조나 운영 요구...

Apache Tomcat 최신 버전 튜닝 가이드- RESTful API 서버 운영

1. 들어가며 Apache Tomcat은 Java 애플리케이션 서버(서블릿 컨테이너)로서,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RESTful API 서버를 구축할 때 매우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솔루션입니다. 개발 환경부터 운영 환경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활용되는데, 톰캣의 기본 설정만으로도 간단한...

쿠버네티스 (Kubernetes) 주요 용어 파드(Pod)

Kubernetes(K8s)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그 중심에는 Pod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Pod는 K8s의 최소 배포 단위이자 핵심 구성 요소로, 컨테이너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

쿠버네티스 (Kubernetes) 주요 용어 네임스페이스(Namespace)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 네임스페이스(Namespace)는 클러스터 안의 리소스들을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상 구역입니다. 네임스페이스를 활용하면 여러 팀 혹은 프로젝트가 하나의 클러스터를 공유하면서도, 서로의 리소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구분하고 접...

쿠버네티스 (Kubernetes) 주요 개념 인그레스(Ingress)

쿠버네티스에서 인그레스(Ingress)는 클러스터 외부에서 내부 서비스로의 HTTP(S)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리소스입니다. 서비스(Service)는 파드 집합에 대한 네트워크 접근을 클러스터 내부에서 추상화하지만, 인그레스는 주로 외부와 클러스터 내부의 연결 지점을 설정하기 위...

쿠버네티스 (Kubernetes) 주요 용어 클러스터(Cluster)

아래는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 클러스터(Cluster)가 무엇인지, 어떻게 구성되고 동작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내용입니다. 쿠버네티스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클러스터 구조와 역할을 확실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맨 위로 이동 ↑

2024

MySQL - 강제 복구 모드 innodb_force_recovery

MySQL 데이터베이스에서 InnoDB 엔진을 사용할 때 데이터 손상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예기치 못한 장애 상황에서는 복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손상이 인덱스와 같은 특정 영역에 국한될 때 복구 절차는 비교적 간단합니다. 이 글에서는 MySQL의 강제 복구 모드 옵션...

스프링부트 기본설정 및 내장톰켓 설정 방법

스프링부트(Spring Boot)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서브 프로젝트로, 복잡한 설정 없이 빠르고 간편하게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내장 웹 서버를 제공하여 최소한의 설정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설정 작업을 줄여 개...

JWT Access Token의 한계와 Refresh Token의 필요성

JWT(JSON Web Token)는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인증과 권한 부여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Access Token은 사용자의 인증 상태를 간단히 확인하는 데 유용하지만, 몇 가지 제한사항이 존재합니다.

Napkin.ai 소개(다이어그램 및 인포그래픽 자동 생성 도구)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수작업으로 다이어그램이나 인포그래픽을 제작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합니다. Napkin.ai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AI 기반 도구로, 텍스트 입력만으로도 다양한 시각적 자료를 빠르...

Gamma App(FLUX로 강화된 AI 프레젠테이션 생성 도구) 소개

프레젠테이션 제작은 시각적 완성도와 논리적인 스토리라인이 요구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하지만 디자인과 구조를 직접 설정하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Gamma App은 이러한 과정을 혁신적으로 간소화해주는 AI 기반 프레젠테이션 생성 도구입니다. 특히, FLUX 이미지 생...

Mapify AI 소개-마인드맵 자동 생성 도구

마인드맵은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고, 복잡한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수작업으로 마인드맵을 작성하려면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기도 합니다. Mapify AI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도구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를 빠르게 마인...

ChatGPT with Canvas 모드 소개 및 사용 후기

10월 초, OpenAI가 글과 코드를 작성할 때 유용한 새로운 인터페이스인 ‘캔버스(Canvas)’ 베타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아직은 ChatGPT 유료플랜 사용자만 사용가능) 아래 사진은 개인 디스코드 채널을 통해 수집된 내용입니다. 생성형 AI를 자동화에 활용하면, 특정 주...

Gemini API 개발자 대회 참여 앱 소개 - AI Fashion Style Analyzer

Google이 주최한 Gemini API를 활용한 웹서비스 개발 대회에 참가하면서 AI Fashion Style Analyzer라는 웹 서비스를 제작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대회의 목표에 맞춰 간단한 웹서비스를 제작하고 제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무엇보다도 Google의 최신 ...

ChatGPT를 활용한 맞춤형 챗봇 만들기 - AI Fashion Style Analyzer

ChatGPT의 GPT 스토어에서 제공하는 ‘내 GPT 만들기’ 기능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GPT 스토어는 2024년 1월에 OpenAI에서 출시한 새로운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직접 만든 GPT를 배포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특...

생성형 AI의 개요와 활용

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 다양한 형태의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인공지능 기술로, 딥러닝의 한 분야에 속합니다. 생성형 AI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스타일을 제공하면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머신러닝이나 딥러닝 모델이 주로 ...

Podman의 Pod 소개 및 사용법

Podman은 Kubernetes의 Pod 개념을 빌려와 좀 더 유연한 컨테이너 관리를 제공합니다. Pod라는 개념을 사용해 다수의 컨테이너를 논리적으로 묶어 관리할 수 있습니다. Kubernetes에서 사용하는 Pod와 유사하게, Podman의 Pod는 여러 컨테이너가 같은 네...

Podman 개요, 설치 방법 및 기본 명령어 소개

컨테이너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배포는 최근 몇 년간 IT 업계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았습니다. Docker는 이러한 컨테이너 기술의 선두주자였지만, Docker Daemon에 대한 의존성 및 라이선스 문제로 인해 많은 대안이 등장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Podman입니...

Google TrendReq 사용법 및 예제코드

서론 데이터 분석이 점점 중요해지는 오늘날, 사용자들이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매우 유용합니다. Google Trends는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를 Python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

Docker 컨테이너 실행 시 CPU, 메모리 자원 제약하는 방법

Docker는 컨테이너 기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가볍고 빠르게 배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서버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컨테이너가 과도한 자원을 사용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Docker 컨테이너의 CPU와 ...

Docker 네트워크 개요

Docker는 컨테이너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를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네트워킹 역시 중요한 부분입니다. Docker 네트워크는 다양한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통해 컨테이너 간의 통신과 외부와의 연결을 지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Docker의 주요 네트워크 드라이버와 ...

Docker 컨테이너 자동 시작 옵션 소개

Docker 사용시 재시작되거나 문제가 생길 때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서비스의 안정적인 제공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ocker 컨테이너의 자동 시작 옵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

모니터링 솔루션의 장애예측과 AIOps 솔루션의 장애예측 차이

장애 대응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서 모니터링 솔루션과 AIOps(AI for IT Operations) 솔루션의 장애 예측은 접근 방식과 기능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두 솔루션 모두 시스템 장애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그 방법과 활용 측면에서 차별화됩니다.

NewsAPI를 활용하여 AI 뉴스 수집하기

서론 인공지능(AI)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AI와 관련된 뉴스도 매일 새롭게 쏟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와 LLM(Large Language Model)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이 분야에 대한 최신 정보를 지속적...

GNews를 활용하여 한국의 AI 뉴스 수집하기

서론 뉴스 수집 자동화는 중요한 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얻기 위한 강력한 방법입니다. 특히 GNews는 구글 뉴스를 기반으로 뉴스 기사를 스크래핑하는 파이썬 라이브러리로, 특정 키워드나 언어, 지역에 맞춘 뉴스를 수집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GNews 모듈에서 제공하는...

WebLogic SSL 디버깅 로그 확인 방법

서론 SSL 연결 문제는 WebLogic 서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보안 문제 중 하나입니다. SSL 인증서 설정 또는 프로토콜 호환성 문제로 인해 SSL 연결이 실패할 수 있으며, 이를 진단하기 위해 javax.net.debug=ssl 옵션을 사용하여 SSL 통신을 디버깅할 ...

LightningAI 무료 GPU를 제공하는 AI 클라우드 서비스 소개

서론 Lightning.AI는 AI 개발에 필요한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매월 22시간의 T4 GPU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신용카드 없이도 사용할 수 있어, 로컬 환경에서 GPU가 부족한 개발자들에게 유용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AI 모델의 초...

Apache mod_rewrite를 사용한 도메인 포워딩 설정하기

Apache의 mod_rewrite 모듈을 사용하여 도메인 포워딩(리디렉션)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도메인 포워딩은 사용자가 특정 도메인으로 접근할 때 다른 도메인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www.old-domain.com에 접속하면...

Apache mod_rewrite의 필수 플래그 이해하기

Apache의 mod_rewrite 모듈은 강력하고 유연한 URL 재작성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URL 리디렉션 및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RewriteRule과 RewriteCond 지시어는 이 모듈의 핵심 구성 요소로, 각 지시어의 끝에 붙는 대괄호([]...

Apache 2.2와 2.4 설정값 차이 비교

Apache HTTP Server 2.2와 2.4 버전 간의 설정값 차이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Apache 2.4는 2.2에 비해 다양한 기능 향상과 설정 방식의 변경이 이루어졌습니다.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SSH 통신 시 네고시에이션(협상)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로, 원격 로그인 및 명령어 실행, 파일 전송 등 다양한 작업에 활용됩니다. 이러한 SSH 통신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협상(negotation) 과정을 거쳐 암호화 방식과 인증 방법을 결정하는...

Redis 데이터의 영속성 (Redis Persistence)

Redis는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로서 빠른 속도를 자랑하지만,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하는 영속성(Persistence)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 기능 덕분에 서버가 재시작되더라도 데이터 유실 없이 복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기능이 잘못 사용되면 장애의 원인이 되...

WebLogic에서 ORA-12516 오류 원인 및 해결 방법

서론 WebLogic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오류 중 하나는 ORA-12516 오류입니다. 이 오류는 JDBC 연결 시 발생하며, 오류 메시지로는 “TNS:listener could not find available handler ...

허깅페이스에서 모델을 로컬로 다운로드하는 방법

서론 허깅페이스(Hugging Face)는 다양한 자연어 처리(NLP) 모델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많은 연구자와 개발자들이 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때로는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보안상의 이유로 모델을 로컬에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허깅...

컴퓨터에서 원격 데스크톱의 수신 대기 포트 변경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RDP)은 원격으로 컴퓨터에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기능입니다. 기본적으로 RDP는 포트 3389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그러나 보안 또는 네트워크 구성상의 이유로 이 포트를 변경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Windows 시스...

리눅스에서 Python 모듈의 기본 설치 경로

리눅스에서 Python 모듈의 기본 설치 경로는 Python 버전과 설치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시스템 전역, 사용자별, 가상 환경에 설치된 Python 패키지의 경로와 이를 확인하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Docker 디스크 공간 최적화 가이드

Docker는 개발자와 시스템 관리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구축, 테스트 및 배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Docker 환경은 사용하지 않는 컨테이너, 이미지, 볼륨 등으로 인해 디스크 공간을 과도하게 차지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D...

Docker 컨테이너 이미지의 용량 축소 전략

Docker 이미지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불필요한 파일 제거, 패키지 캐시 정리, 로그 파일 및 임시 파일 정리, 멀티 스테이지 빌드와 같은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경량 베이스 이미지 사용, .dockerignore 파일 활용 등...

Streamlit 하위 페이지 만들기

서론 Streamlit을 사용하다 보면 데모 페이지가 하나로 끝나지 않고 여러 페이지로 나누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 사이드 네비게이션바를 추가하여 다양한 하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고자 할 때, 간단한 방식으로 이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Streamli...

GPT4All 로컬PC 설치 방법

AI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GPT4All입니다. GPT4All은 다양한 언어 모델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GPT4All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드리...

[linux] /etc/security/limits.conf 파일의 OS 설정값 적용 우선순위

리눅스 서버에서는 /etc/security/limits.conf 파일을 통해 사용자 및 프로세스의 리소스 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의 설정 값은 다른 방식으로 설정된 값들과 우선순위가 있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etc/security/li...

Chrome 개발자도구로 디버깅 방법

웹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복잡한 버그나 예상치 못한 웹 페이지의 동작으로 골머리를 앓았을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있어 Chrome 개발자 도구는 필수 불가결한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웹사이트의 코드를 실시간으로 수정하고, 네트워크 활동을 모니터링하...

[Study Jam] Encoder-Decoder Architecture

교육적 요약 - Encoder-Decoder Architecture: Overview by Video Summarizer:** 🕒 00:00:00 - 00:07:47 🖥️ 인코더-디코더 구조: 구글의 기계학습 엔지니어 Benoit Dherin이 큰 언어 모델의 핵심인 인코...

[Study Jam] Attention Mechanism 주요내용

교육적 요약 - Attention Mechanism: Overview by Video Summarizer:** 🕒 00:00:00 - 00:05:28 🤖 인공 지능 발전: Google의 Advanced Solutions Lab의 기계학습 엔지니어인 Sanjana Reddy...

Python에서 파일 이동 방법 및 FileExistsError 오류 해결 방법

파이썬에서 파일 이동 방법 os.rename(src, dst) 함수는 Python의 내장 os 모듈에 포함되어 있으며,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이름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운영 체제의 기본 파일 시스템 작업을 통해 작동하므로, 파일을 다루는 스크립트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

[Linux] sar를 이용한 이슈 분석 예시

Linux 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성능 모니터링은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시스템의 리소스 사용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할 때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모니터링 도구가 필요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Linux의 sar 명령어는 시스템 관리자들에게 강력한 도구를 제공...

[Linux] Kernel Release Model

Linux 커널은 전 세계 수백만 대의 컴퓨터와 서버, 그리고 모바일 기기에서 심장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는 오픈 소스 운영 체제의 핵심 구성 요소로, 높은 성능과 안정성, 그리고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처럼 중요한 시스템의 일부분이 어떻게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관리되는지...

파이썬 개발자가 알아야 할 가상환경과 Crontab 자동화

파이썬 개발자라면 누구나 효율적인 개발 환경 구축의 중요성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특히, 가상 환경과 Crontab을 활용한 자동화는 개발자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파이썬 가상 환경의 설정 방법과 Crontab을 이용한 주기적인 작업 ...

JVM 메모리 구조와 관리

Java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개선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며, JVM(Java Virtual Machine) 메모리 구조와 관리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확장된 가이드는 JVM의 메모리 영역의 복잡성에 대해 깊이 파고들며, 효과적인 메모리 관리를...

맨 위로 이동 ↑

2023

[Linux] 스왑 메모리 사용하는 프로세스 확인

Linux 시스템에서 스왑 메모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스왑 메모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WebLogic Debug Flag 설정 정리

이번 블로그에서는 WebLogic 서버의 Debug Flag 설정에 대해 알아보고, 그 활용 방법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Debug Flag 설정은 WebLogic 서버의 동작 추적과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해당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ebLogic 서...

[Tomcat] Apache와 Tomcat 연동을 위한 mod_jk 컴파일 및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Apache와 Tomcat을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pache HTTP 서버와 Tomcat 서버를 연동하면, 정적인 웹 페이지는 Apache가 처리하고 동적인 웹 페이지는 Tomcat이 처리하는 등, 각각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RabbitMQ 살펴보기 - 성능

RabbitMQ는 매우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메시지 브로커 시스템으로서, 수많은 기업에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비동기 메시지 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RabbitMQ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다양한 기술과 전략을 소개하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처리량을 극대화하고...

RabbitMQ 살펴보기 - Queue, Exchange, Message 처리

RabbitMQ는 Queue, Exchange, Message라는 세 가지 주요 개념을 사용하며, 이들의 역할과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자세히 설명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ElasticSearch 살펴보기 - Aggregation

ElasticSearch의 Aggregation은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를 정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Aggregation은 인덱스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산 처리할 수 있습니다.

[Linux] Swap 메모리 활용수준 조절방법 소개

1. 리눅스 스왑(SWAP) 활용수준 개요 - Free 메모리가 있는 상황에서 시스템이 어느정도의 스왑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은 정상적인 상황이다. - 커널은 근미래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메모리 페이지를 스왑아웃하지 않고 메모리상에 계속 보관해두어 퍼포먼스를 높이고자 한다. -\ 해...

[Linux] Swap 메모리 할당 방법 소개

1. 리눅스 스왑(SWAP) 소개 - 시스템에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에 하드 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활용하여 계속 작업을 도와주는 영역 -  하드 디스크의 일부를 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 - 프로그램들을 많이 실행하여 메모리가 부족하면, 메모리 상에 적재된 프로그램 중...

[windows] 가상머신기반 개발환경 빠르게 구성하기

1. Windows 11 개발 환경 가져오기 소개 - microsoft 공식홈페이지에 최신 버전의 Windows, 개발자 도구, SDK 및 샘플이 준비된 가상 머신을 트라이얼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 간단한 테스트 용도로 이미지를 다운받아 가상머신에서 사용하면 손쉽고 빠르게 개발환...

[정규표현식(regex)] 정의 및 사용 예시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 이란 정규 표현식은 특정 패턴의 문자열을 매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자열로, 문자열을 검색하고 추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우편번호, URL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을 찾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정규표현식...

[linux] 로케일(locale) 설정 확인 및 변경방법

## 로케일(Locale)이란? - 로케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 지역 설정, 출력 형식 등을 정의하는 문자열로, 유닉스Unix와 리눅스Linux와 같은 POSIX 기반의 시스템에서는 같은 형식을 공유하고 있다. 애플의 맥OS를 비롯한 Darwin 계열 운영체제들도...

[Promtail] #7.Docker기반 Promtail 설치 및 설정 가이드

Grafana Promtail Promtail Architecture - 아래 그림에서 Promtail 에 해당하는 부분에 해당함 - Prometheus Promtail는 Grafana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로그 수집기로 대상서버에 설치하여 Loki가 설치된 서버로 전송한다...

[Loki] #6.Docker기반 Loki 설치 및 설정 가이드

Grafana Promtail Loki Architecture - 아래 그림에서 Loki 에 해당하는 부분에 해당함 - Prometheus Loki는 Grafana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로그 집계 시스템 - Loki의 주요특징: 수평확장, 고가용성지원, Multi-tenan...

[cAdvisor] #4.Docker기반 cAdvisor 설치 및 설정 가이드

Grafana/Prometheus Architecture - 아래 그림에서 Exporters 에 해당하는 부분에 해당함 - cAdvisor는 컨테이너의 리소스 사용량, 네트워크 I/O, 디스크 I/O, 메모리 사용량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

[Grafana] #2.Docker기반 Grafana 설치 및 설정 가이드

Grafana/Prometheus Architecture - 아래 그림에서 prometheus에 해당하는 부분에 해당함 - Grafana는 시각화 도구로서 대시보드를 만드는 데 매우 유용하다. 사용자는 간단한 드래그 앤 드롭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트, 그래프, 테이블 등 다양한 형태...

[Tomcat] 9.0이상에서 에러 처리방법

Apache Tomcat의 에러처리관련 정리한 자료. URL에 % 문자열이 들어갈 경우 400오류가 발생하고, 이를 처리하는 방법을 찾아서 정리한 자료

[Prometheus] #1.Docker기반 Prometheus 설치 및 설정 가이드

Grafana/Prometheus Architecture - 아래 그림에서 prometheus에 해당하는 부분에 해당함 - prometheus는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이를 시각화하고 경고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메트릭 데이터는 시스템의 상태나 성능을 나타내는 지...

[Tomcat] minor 패치방법

apache-tomcat 보안취약점( cve-2023-24998) 으로 minor 패치가 필요하여 서비스 영향없이 간단하게 패치하는 방법 정리

WebLogic에서 Derby Process 중지 가이드

Apache Derby는 WebLogic 10.3.4 이상 버전부터 기본적으로 설치되며, WebLogic 서버 가동 시 함께 실행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Derby Process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를 비활성화하여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WebLogic...

[Linux] vmware에서 rockylinux 8.6 설치 후 수행한 설정

Rocky Linux 소개 - Rocky Linux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의 소스 코드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무료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프로젝트의 공동설립자 중 하나인 Gregory Kurtzer는 RHEL과 1:1 대응되는 새로운 배포판을 만들고자 하였고...

맨 위로 이동 ↑